-
[자료구조] 3강 2장 배열 - 1절 개요프로그래밍/자료구조 2014. 4. 17. 16:31반응형
자료구조 2장 배열 - 1절 개요
* 배열이란?
- 같은 자료형을 가진 원소가 순서를 가지고 만들어진 집합
- 배열 원소들은 인덱스(0부터 시작한다) 에 의해 참조
- 배열의 인덱스는 배열 원소의 순서를 의미
*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이점
- 많은 요소들에 각각의 변수명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메모리와 검색 효율이 좋음
ex) int I,j,k,l,m,n; 변수선언을 해주었을 경우에는 변수 테이블을 따로 만들어 주어야한다. -> 메모리가 더 쓰인다. -> 배열로 선언해주는 것이 좋다.
- 첨자 값만으로 액세스함으로써 배열의 원소값을 참조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표현이 가능
ex) z=i+j+k+l+m; -> I,j,k,l,m 이 무엇인지 따로 int로 선언해 주어야한다.
<1차원 배열>
자료형 배열 이름[배열의 크기] = {초깃값 리스트}:
int A[5]={1,2,3,4,5}:
=
int A[5]:
A[0]=1:
A[1]=2:
A[2]=3:
A[3]=4:
A[4]=5:
int A[5]={1,2,3,4,5}:
=
int A[5]:
A[0]=1:
A[1]=2:
A[2]=3:
A[3]=4:
A[4]=5:
A[0] A[1] A[2] A[3] A[4]
A
1
2
3
4
5
<2차원 배열>
* 순서 리스트에서 연산
- 삽입 : 리스트에 새로운 노드 추가
- 삭제 : 리스트에 노드 삭제
- 검색 : 노드들 중에서 필요한 노드 검색
- 복사 : 전체 또는 일부를 복사하여 새로운 노드 생성
- 정렬 : 어떤 기준으로 리스트 내의 원소들을 재배치
- 병합 : 둘 또는 그 이상의 리스트를 하나의 리스트로 재조합
- 분리:한 리스트를 둘 또는 그 이상의 리스트들로 나눔
* 순서 리스트의 표현 방법
- 집합으로 표현 : A=[a1,2,3...An] : 각 원소들간의 순서 개념이 없음
- 배열로 표현 : 원소들의 논리적 순서와 같은 순서로 기억간에 저장
<순서 리스트의 원소 삽입>
일부 요소 미표기
반응형'프로그래밍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6강 3장 스택과 큐 - 4절 스택의 응용 (0) 2014.04.17 [자료구조] 5강 3장 스택과 큐 - 2절 큐 (0) 2014.04.17 [자료구조] 4강 3장 스택과 큐 - 1절 스택 (0) 2014.04.17 [자료구조] 2강 1장 기본 개념 - 4절 순환 알고리즘 (0) 2014.04.17 [자료구조] 1강 1장 기본 개념 - 1절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0) 2014.04.17